본문 바로가기
정보

미국 비만약 기업: 일라이릴리, 노보노디스크의 '마운자로와 위고비'

by 농대생의 취미공간 2024. 2. 1.
반응형

미국 비만약 기업

미국-비만약-기업-일라이릴리-노보노디스크

 
  • 일라이릴리
    • 릴라이릴리는 미국 주요 제약 회사로 본사는 인디애나주 인디애나폴리스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 회사는 147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당뇨병 치료제를 처음으로 상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일라이릴리의 제품은 당뇨, 암, 면역질환, 통증, 골다공증, 남성건강, 정신신경계등 엄청난 약들이 즐비하고 있는 회사입니다. 또한 유전자 치료제 개발에도 집중하고 있으며, 특히 희귀 난치성 질환을 타깃으로 하는 맞춤형 치료제 개발에 본격적으로 착수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연구와 개발 노력을 통해 일라이릴리는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제약회사로서의 위치를 더욱 공고히 하고 있습니다.

  • 노보노디스크
    • 덴마크의 대형 제약회사로, 1923년에 설립되었습니다. 이 회사는 당뇨병 치료제를 집중적으로 개발하고 판매해 왔으며, 현재 전 세계 인슐린 치료제의 90%를 공급하는 3대 제약사 중 하나입니다. 노보노디스크는 당뇨병, 비만 등 중증 만성 질환의 치료법을 발견하고 개발함으로써 90년 이상 혁신을 실현하고 리더십을 발휘해 온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입니다. 이 회사는 삭센다와 위고비와 같은 GLP-1 비만치료제를 개발하였습니다. 노보노디스크는 최근에는 다양한 바이오벤처와 투자 계약을 맺어, GLP-1과 다른 원리의 비만과 대사질환 치료제를 연구·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은 노보노디스크가 GLP-1 치료제의 뒤를 이을 차세대 비만 치료 신약 개발에 나섰다는 분석을 받고 있습니다. 노보노디스크는 또한 지속 가능한 사업을 추구하며, 제약회사로서는 최초로 글로벌 생산시설에서 100% 재생 가능한 에너지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회사는 'The Triple Bottom Line’이라는 경영철학을 가지고 있어, 재무, 사회, 환경의 세 분야 간 균형을 맞추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비만약 제품

일라이릴리: 마운자로

  • 마운자로는 릴리 제약사에서 개발한 약물로, 제2형 당뇨병 치료제로 FDA 승인을 받았습니다. 이 약물은 GLP-1(glucagon like peptide-1)과 GIP(Glucose-dependent Insulinotropic Polypeptide)에 이중으로 작용하는 주사제로, 혈당과 체중을 낮추는 효과가 확인되었습니다. 마운자로는 주 1회 투여로 수용체를 활성화시켜 혈당수치를 조절하는 작용을 합니다. 이를 통해 체중 감량 효과를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마운자로의 임상 연구결과에 따르면 비만인 2,539명을 대상으로 72주 연구를 진행했을 때 평균 체중의 22.5%가 감량되었다고 합니다. 젭바운드라는 상표명으로 가격은 1개월 기준 1,060달러 한화 140만 원으로 책정되었습니다. 
  • 부작용으로는 메스꺼움, 구토, 설사 등과 같은 소화기 증상으로, 기존 삭센다 부작용과 유사하다고 보입니다. 국내에서는 당뇨 치료 목적으로 허가를 받았으며, 체중 감량 효과를 보인 허가 외 처방을 받을 수 있습니다.

 

노보노 디스크: 위고비

  • 위고비는 당뇨병 치료제인 '세마글루타이드’를 고용량으로 만들어 비만 치료에 사용하는 약물입니다. 이 약물은 혈당을 조절하는 데 도움을 주면서 체중 감량 효과도 보여주고 있습니다. 위고비의 성공으로 노보노디스크의 시가총액은 5,000억 달러를 돌파하였으며, 이는 유럽 기업 중 두 번째로 큰 규모입니다. 또한, 노보노디스크는 새로운 비만 치료제 후보물질을 약 3,400억 원에 사들였습니다. 이는 글로벌 비만 치료제 시장이 급격히 커지면서 후보물질 확보 경쟁에 불이 붙고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는 비만 치료제가 심혈관질환, 지방간염 등 다른 복합 만성질환 치료제로도 쓰이면서 향후 발전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이 높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위고비의 가격은 미국 기준으로 한 달 사용분이 약 176만 원에 책정되었습니다.
  • 부작용으로는 메스꺼움, 구토 설사 등과 같은 소화기등 다양한 증상이 있으며 이러한 부작용은 일반적으로 경증에서 중등도의 중증도이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신체가 약물에 적응함에 따라 개선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모든 약물이 그렇듯이, 위고비의 효과와 부작용은 개인마다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부작용이 발생하면 즉시 의사에게 알려야 합니다.

 

비만약 전망

비만 치료제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 시장점유율 1위인 삭센다의 후속약물이 국내 허가를 받은 데 이어 미국 일라이릴리의 비만치료제 임상도 순조롭게 진행 중입니다. 국내 제약바이오 업체들도 후발주자 자리를 두고 비만치료제 개발에 열을 올리는 모습이 보입니다. 국내 업체들은 기존 비만치료제의 단점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세계 비만치료제 시장 규모는 2021년 32억 달러(한화 4조 2,500억 원)에서 2026년 46억 달러(한화 6조 1,500억 원)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2031년까지는 371억 달러(한화 49조 5,0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매출 상승을 위해서는 비만약물 복합제 개발, 광범위한 보험적용 여부 및 공급확보가 핵심이 될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비만 치료제는 다른 만성질환 치료제보다 개발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 치료제 개발에 성공해도 이미 시장을 선점한 업체들의 주도권을 빼앗는 게 쉽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국내 기업들이 개발에 속속 뛰어드는 이유는 국내외 비만치료제 시장이 지속해서 성장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마치며

건강을 위해 꾸준한 운동과 균형있는 식단이 필요합니다. 비만은 다양한 건강문제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자신의 몸을 소중히 여기고 건강한 삶을 위한 노력을 게을리하지말아야합니다.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